연금펀드, 굴리고 싶어서 증권사를 알아보는데 어떤 증권사를 선택해야하는지 고민이 많으실겁니다. 제가 쉽게 좁혀드리면 고려해야 할 사항은 3가지입니다. 수익률,수수료, 그리고 세금입니다.
증권사 IRP , 언뜻 보면 장점이 엄청나게 많아보이는 상품입니다. 실제로 증권사에서 가입하라고 하면 대부분 이런 장점들만 강조하고요.
하지만 좀만 찾아봐도 계좌를 관리하는 수수료가 이 모든 장점들을 상쇄하고도 남을 수 있다는 말도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증권사별 irp 또는 연금펀드 관리수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세금에 관한 실전운용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 - 가이드>
irp로 세금 공제, 연금저축펀드로 수수료 면제 받는 운용팁 ◀바로가기
1. 예시로 쉽게 알아보는 연금펀드 수수료
연금펀드는 총 4가지로 분류됩니다. 채권형, 채권혼합형, 주식혼합형, 주식형 이 4가지 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릴게요.
- 채권형 = 0.42%
- 채권혼합형 = 0.8%
- 주식혼합형 = 1.07%
- 주식형 =1.39%
즉, 채권혼합형 기준 이번년도 1000만원 투자시 1년에 떼어가는 관리수수료가 8만원이라는 겁니다.
연금저축펀드 수수료는 총 3가지로 나뉜다고 보시면 됩니다. 내 자산을 운용해주는 운용사가 가져가는 운용보수, 자산을 은행처럼 보관하고 있는 수탁보수, 마지막으로 팔때 가져가는 판매보수입니다.
채권형~주식형 수수료율은 이 3가지를 다 합친걸 올린겁니다. 눈치를 채셨겠지만 투자상품의 리스크가 커보이는 상품일수록 가져가는 수수료는 더 높아지게 되죠.
초보자들이 착각하시는 부분이 이부분입니다. "아니 1%면 운용수익이 5%정도라고 치면 괜찮지 않나?" 글쎄요. 표를 보면 그럴듯합니다.
1000만원을 납입했으니 연금저축펀드400만원에서 16.5%=66만원을 세액공제 받게 됩니다. 운용사 수수료가 약1%정도이니 총 이득은 66-10=56만원이 됩니다.
감이 오시나요?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운용사가 보관하는데 걷어가는 수탁보수의 함정입니다. 연금펀드에 돈이 쌓이면 쌓일수록 운용사가 가져가는 수수료가 세액공제금액을 압도하게 됩니다.
즉, 평가금이 1억정도라고 가정했을때 내게되는 수수료는 100만원 이상이게 되고 받는 세액공제보다 나가는 수수료가 더 많아지게 됩니다.
세액공제의 매력에 혹해서 잠깐 들어왔다가 엄청난 관리수수료를 매년 내게 되고, 그렇다고 해지를 하자니 지금까지 받은 세액공제혜택을 전부 토해내야하거든요. 제가 IRP나 연금저축펀드가 크게 매력적이지 못하다고 느낀 포인트입니다.
현실 사정에 맞게 적은 IRP, 과연 가입해야할까? 하는 포스팅입니다. 참고하면 도움이 될겁니다.
<참고 - 가이드>
퇴직연금 IRP 해지 -트렌드에 맞지 않는 단점분석 /대응
퇴직연금 IRP 해지 - 트렌드에 맞지 않는 단점분석 /대응
퇴직연금 개인형 IRP, 쉽게 정리해서 노후자금 절세 상품이다. 아무때나 가입이 가능하고 적용대상도 아무나 가능하다.(무소득자 제외). 장점도 언뜻보면 상당히 매력적으로 보인다. 엄청난 세제
makemoooney.tistory.com
IRP 관리수수료는 낮아진게 맞는가?
맞는말이긴 합니다. 크게 나눠서 DB,DC 등 회사에서 운영하는거랑 IRP 개인형, 즉 개인이 운영하는 2가지로 나뉩니다. 회사에서 운영하는 DB,DC같은 경우는 관리수수료를 회사에 부담해서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단, 나중에 퇴직금을 받을때는 수수료가 부과가 됩니다.
퇴직금 세율계산 쉽게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해두었습니다.
<참고 - 가이드>
퇴직금 세율 쉽게 구하는법 ◀바로가기
현재 유안타증권, 한국포스증권, 한화투자증권에서 운용수수료, 관리수수료가 면제가 되는게 보이네요.
산정한 기준은 연 1000만원 납입, 그리고 10년만기 가입했을때 수수료를 계산한 금액입니다. 1000만원에 대한 수수료를 나타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건 팁인데요, 납입된 금액이랑 운용수익금 구분없이 모두 수수료 면제 혜택을 제공하는 증권사도 있지만 추가적립금에만 수수료혜택을 제공하는 증권사도 있습니다. 이거 당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그럼 어떤 증권사에 가입하냐?
2가지만 해주시면 됩니다.
1. 금감원 사이트 공시확인
아래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들어가셔서 퇴직연금-맞춤형수수료 비교에서 본인 상품에 맞는 irp증권사별 수수료를 비교하시면 됩니다.
1.제도 유형 : DB,DC, 개인형IRP(사용자부담분),개인형IRP(가입자부담분) 선택
( 퇴직할 때 받게 되는 퇴직금은 사용자부담분, 개인이 가입한건 가입자부담분이다.)
2.장기계약 : 계약하고자 하는 년수를 적어준다.
3.적립금액 : 1년에 얼마를 납입할 예정인지 적어준다.
아래 사이트에서 irp증권사 비교를 하시면 됩니다.
<참고 - 가이드>
금융감독원 증권사별 수수료공시 ◀바로가기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100lifeplan.fss.or.kr
2. 증권사별 홈페이지 또는 직접문의
증권이나 은행의 수수료등 거래조건이 상시로 변경되기 때문에 위의 내용을 맹목적으로 믿기는 좀 어려워보인다. 또 적립금액이 매년 일정하게 넣는다는 보장도 없고. 따라서 증권사에 직접 문의를 해서 어떤 irp상품에 대한 수수료가 괜찮은지 찾아봐야합니다.
다음포스팅에는 이 부분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 가이드> - IRP, 간단 정리
IRP, 연금저축펀드 차이 + 가입하면 안되는 유형의 사람 ◀바로가기
세금을 최대한 피하면서 빨리받는법 -연금저축펀드 100%활용법 ◀바로가기
연금 저축 펀드 IRP 차이 - 가입하면 안되는 유형의 사람들
연금세액공제, 많이들 IRP나 저축펀드에 가입하시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퇴직했을때 IRP계좌로 퇴직금을 받게 되면 장점이 많긴합니다. 분명 퇴직 연금 세금도 줄여주고 연금으로 수령시 퇴직
makemoooney.tistory.com
오늘은 증권사별 IRP비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다음시간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관리수수료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