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지수 추종 국내 ETF - IRP로 세금 공제/ 퇴직연금펀드로 수수료 면제

ETF, 비교적 안정적인 자산중 하나로 인기가 많은 상품이죠. 그래서 주로 주식시장이 지나치게 고점인 경우 거래량이 급격히 느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뻔한얘기 하려는게 아닙니다. 실제 운용하는 방법과 초보자분들이 쉽게 헷갈리는 내용을 포스팅했습니다. 상품의 수도 너무 많고 상품의 기준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이 다 다른 ETF.  오늘은 어떻게 퇴직연금펀드 또는 IRP를 운용해야 세금을 피할 수 있는지 포스팅하겠습니다.

 

아직IRP의 개념에 대해서 모르시는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짧게 보고 오시면 됩니다.

<참고 - 가이드>
IRP 장점/단점 분석정리(ISA비교) ◀바로가기

국내상장ETF-해외상장ETF-소득세비교
출처 : 미래애셋증권

 

국내 ETF는 IRP로 거래하지 마세요

IRP또는 연금저축계좌에서 부과되는 세금은 총 2가지입니다.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 그리고 배당금에 대한 세금 입니다.

 

배당금, 다시말해 ETF의 분배금에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국내주식형 ETF, 기타 ETF, 해외상장 ETF 모두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IRP나 연금저축계좌에서 거래하게되면 과세이연 혜택때문에 세금이 전부 비과세됩니다. 단, 연금수령시점부터 3.3%~5.5%의 소득세를 부과합니다.

(단, 연금수령액이 연 1,200만원 넘기면 종합과세에 포함되므로 6%이상 과세가 부과됨)

ETF종류별-매매차익-세금
매매차익 세금 자료

매매차익, 여기가 좀 까다롭습니다.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은 ETF종류마다 다릅니다.

 

국내 ETF같은 경우에는 세금이 비과세입니다. 즉, 일반계좌로 거래를 하던 IRP로 거래를 하던 세금이 부과되지 않다는 겁니다. 왜그럴까요? 국내 주식과의 세금 부과에 대한 공정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내ETF는 과세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기타ETF같은 경우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주로 해외지수를 추종하는 ETF이며,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IRP나 연금계좌로 거래하면 이것도 면제가 되겠네요. TIGER차이나CSI300 ETF 같은 해외지수를 추종가는 주식같은 경우가 해당됩니다.

 

해외ETF의 경우 말그대로 해외에 있는 ETF에 투자하는겁니다. 이건 IRP로 거래하느냐 마냐는 좀 까다로운데, 지금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건 뒤에 자세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반계좌vsIRP-연금수령시-과세비교
IRP로 불필요한 세금을 낼 수도 있다.

눈치 채셨나요?

잘못하면 IRP로 내지 않아도 되는 세금을 낼 수도 있습니다. 국내ETF 거래시 일반계좌로 거래하면 비과세로 끝나지만 IRP는 얘기가 조금 달라집니다. IRP의 특징이 뭐였죠? 과세이연입니다. 지금은 과세를 부과하지 않지만 납입초과분 그리고 운용수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연금수령시 부과합니다.(3.3~5.5%) 즉, 국내ETF를 운용해서 낸 수익도 예외가 아니라는겁니다. 

 

 

그럼 어떻게 운용해야하는가?

IRP또는 연금저축펀드로는 국내상장된 해외ETF를 사는데 쓰셔야 합니다. 국내상장된 해외ETF의 경우 배당금 그리고 매매차익에 대한 소득세가 15.4% 일괄 부과되기 때문에 IRP를 사용해서 과세이연, 즉 비과세 혜택을 받으시고 받은 추가금액에 대한 레버리지 효과를 누리는 겁니다. 그리고 국내ETF경우에는 그냥 일반계좌로 거래하시면 됩니다.

 

 

해외ETF는 어떻게 투자할까?

해외ETF는 금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해외 ETF의 경우 250만원까지 공제가 되는데 연 5%수익률을 가정했을 떄, 5000만원까지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IRP로는 수령전까지는 완전 비과세니까 IRP가 좋은거 아냐? 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개인적으로는 자금이 적든 많든 해외ETF는 그냥 일반계좌로 거래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어떤계좌로-해외ETF-거래해야하는가
해외ETF 어떤계좌로 거래하는가

자금이 적은경우에는 일반계좌 거래시 250만원까지 공제가 되니 그 한도내에서 운용하신다면 IRP가 필요가 없게 됩니다. IRP경우에는 여기서 발생한 수익금도 연금수령시 연금소득세가 부과되니까요.

 

자금이 많은경우에도 문제입니다. IRP로 거래하면 언뜻보면 "세금을 안내고 나중에 3.3%~5.5%만 내니까 좋네~" 하실수 있는데 절대 아닙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 때문입니다. IRP 연금수령시 연 1200만원을 넘게 되면 종합과세 대상자가 됩니다. 즉, 3.3~5.5% 세금이 아니라 더 많은 세금을 뱉어내게 됩니다.

 

Q : 아니 그러면 연 수령 금액을 1200만원 말고 1100만원으로 하면 종합과세 안되는거 아니야?

A : 맞습니다. 하지만 그 상황을 보셔야 합니다. 자금을 많이 가지고 계신분이 연 1100만원을 연금계좌로 받고 싶을까요? 다 받기도 전에 죽을 가능성이 더 높아보입니다.

 

따라서 해외ETF 같은 경우에는 일반계좌로 거래하셔서 250만원 공제받고 양도소득세 22%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ETF별-사용해야하는-계좌추천및정리
ETF별 사용해야하는 계좌 정리

 

 

퇴직연금펀드 수수료 면제? 

증권사 연금펀드나 IRP를 가입할때 뭘 먼저 가입을 하는게 좋을까?랑 연결되는 질문입니다. IRP같은 경우에는 증권사에서 거래수수료를 떼어갑니다. (이자가 날마다 붙는거와는 달리 정해진 날짜에 일괄적으로 떼어갑니다.) 하지만 퇴직연금펀드 가입자는 조금 다릅니다. 퇴직연금 가입자는 ETF를 매매할 때 증권사에 내는 위탁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아 투자 비용을 좀 더 아낄 수 있습니다. 즉, 증권사에 대한 퇴직연금펀드 수수료가 면제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굳이 고르자면? 어차피 둘다 가입하는게 좋긴하지만 연금펀드를 먼저 가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IRP랑 연금저축펀드 차이에 대한 디테일한 설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 - 가이드>
연금저축펀드와 IRP차이 - 가입하면 안되는 유형◀바로가기
 

연금 저축 펀드 IRP 차이 - 가입하면 안되는 유형의 사람들

연금세액공제, 많이들 IRP나 저축펀드에 가입하시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퇴직했을때 IRP계좌로 퇴직금을 받게 되면 장점이 많긴합니다. 분명 퇴직 연금 세금도 줄여주고 연금으로 수령시 퇴직

makemoooney.tistory.com

오늘은 해외지수추종 국내ETF,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 포스팅했는데요,

IRP나 연금저축펀드 세금과 관련해서 

질문이 있으시면 답글남겨주세요

설명드리겠습니다~

해외지수추종-ETF유형에-따른-계좌운용방법
해외지수 추종 국내 ET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