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A 8가지 디테일 - 헷갈리는 초보자를 위한 운용팁까지!

안녕하세요!!

재테크에 디테일을 더해주는

머니정이에요~

ISA 가입조건, 장단점을 읽었는데도 아직 어렵다고요?

 

오늘은 

헷갈리는 ISA상식 그리고 개인적인 tip

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참고로 "아직 기본정리를 아직 안봤다!"

하시는 분은 바로 아래 링크에서 간단하게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래요!

 

 

 

쉽게 정리한 ISA계좌 - 서민형,중개형 ISA 조건과 혜택 (tistory.com)

 

쉽게 정리한 ISA계좌 - 서민형,중개형 ISA 조건과 혜택

안녕하세요! 재테크에 디테일을 더해주는 머니정이에요~ 주식에 관심이 있다면 ISA 계좌를 만들어 세금 혜택을 보는게 좋겠죠? 오늘은 인기가 가장 많은 서민형,중개형 ISA를 중점으로 ISA에 대해

makemoooney.tistory.com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ISA만기후 계좌를 그냥 놔두면 어떻게 되나요?

만기시점부터 소득에 대해 분리과세 9.9%가 적용됩니다.

일반과세가 15.4%니 그래도 일반계좌로 거래하는것보다는 더 낫습니다.

 

하지만! 재가입을 하게 되면

비과세 혜택을 또 받을 수 있으므로 

만기금을 수령하고 새로 계좌를 만드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2. 연장을 하는게 나을까요? 재가입을 하는게 나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 본인계좌 상태를 봐야 합니다.

 

흔히들 재가입을 하는게 낫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아닙니다.

 

ISA장점을 봅시다.

"손익통산한 금액에서 세액공제를 한다."

 즉, 만약 투자에 실패해서

현재 계좌 상태가 원금보다 작다?

 그러면 연장을 하는게 더 이득셈이죠.

 

 

예시를 들어볼게요

예를들어 1억을 ISA계좌에 입금했는데

손실 400만원이 나서 결국 9600만원이 났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런 경우에 재가입보다는 연장을 하는게

더 이득이라는 겁니다.

손실400+비과세 400, 즉 800만원 이득이 생길때까지 

비과세라는 겁니다.

하지만 재가입을 하게 되면 원래 비과세 한도 400만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거죠.

 

 

이런일이 생각보다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중개형ISA가 인기가 많고 중개형ISA는

국내상장주식 거래가 가능한 리스크있는 ISA이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현재 잔고가 납입한 원금보다 높으면 재가입,

현재 잔고가 납입한 원금보다 낮으면 연장하시면 됩니다.

 

 

 

 

3. ISA 만기 연장 횟수는 제한이 있나요?

없습니다. 

만기할때마다 계속 가입이 가능합니다.

 

 

 

 

4. 그럼 만기연장은 제가 따로 해야하나요? 

네 그렇습니다.

각 금융사에 문의하셔서 연장하시면 됩니다.

단, 만기 당일에는 연장이 불가능해지니 만기 이전에 연장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연장은 1일단위로 연장이 가능합니다. 

 

 

 

 

 

5. ISA랑 연금계좌  연동가능하다는데 이거 무슨말인가요?

개인적으로 ISA가 좋다고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쉽게말해

ISA만기자금을 연금계좌에 이체할 수 있습니다.

 

장점은 2가지입니다.

1.장점은 연금계좌 한도와 별개로 납입 가능

2.이체금액의 10%(최대300만원)까지 세액공제

 

즉, 연말정산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이

약 49만 5000원 정도나 됩니다.!

 

만약에 연금저축 안하는 사람이

ISA에서 연금저축으로 3천만원 이체를 한다?

그러면 세액공제가 1천만원까지도 가능하게 됩니다.

(연금계좌 700만원 공제 +ISA 300만원 공제)

 

 

 

 

6. ISA 소득없는 대학생도 가입이 가능한가요?

ISA 중개형 가입 대상은

만 19세 이상 거주자입니다.

만 15~18세는 근로소득이 있어야 하지만

19세 이상이라면 소득이 없어도 가능하죠.

 

국세청 홈텍스에서 발급한 소득확인증명서만 있으면 됩니다.

(더 필요하다면 가입할 은행이나 증권사에 문의하면 됨)

 

 

 

 

7. ISA 중도인출하면 어떻게 되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기타 소득세 없이 인출이 가능합니다.

 

출금방법은 2가지입니다.

계좌유지 그리고 계좌해지 

 

계좌유지 : 납입원금내에서 출금 가능합니다. 

즉, 수익금은 중도인출이 불가능하죠.

계좌해지 : 출금이 가능한데 계좌 해지 및 폐쇄됩니다. 

즉, 세제혜택도 못받고 재가입해야합니다.

 

 팁 2가지

1. ISA 연간 2000만원 납입 가능한거 알고 계시죠?

출금할때도 연간 2000까지만 출금이 가능합니다.

 

2. 100만원 입금하고 다시 100만원 인출시 그 년도 2000만원 납입 맞나요?

아닙니다. 1900만이 최대가 됩니다.(2000-100), 출금하면 한도 줄어듭니다.

 

 

 

 

8. isa 계좌 만들었는데 기존 주식계좌에서 isa로 주식 이동이 가능한가요?

ISA 중개형 계좌는 일반 증권계좌랑 다릅니다.

주식 입/출고가 불가능합니다. 

기존 주식계좌 주식 매도->현금화->ISA에 입금 

순으로 하셔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ISA가입자수가 많이 늘어나게 된 이유가

중개형ISA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상장주식에 투자할 수 있게 

되면서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였고

전례없는 손실과 이익을 합쳐버려서 세금을 부과해버리는

상계시스템을 도입했기 때문이죠.

 

게다가 기존의

신탁형은 수수료가 약 0.1%

일임형은 수수료가 약 0.3~0.8% 였던데 비해,

ISA중개형같은 경우는

별도 계좌 수수료가 없습니다.

 

오늘은 ISA계좌에 대해

애매한 부분에 대해서 디테일하게

알아봤는데요.

혹시 궁금하신 금융 재테크 상품같은게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래요.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